투기 의혹에 휩싸인 LH, 과연 정보가 허술하게 관리될 수 있다는 걸 몰랐을까요? <br /> <br />YTN 취재진이 입수한 LH 내부 감사보고서를 보니, 이미 수년 전 신도시 후보지 보안 관리가 취약하다고 자체 진단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감사 이후에도 보안 대책은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김지환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18년 말, LH가 작성한 내부 감사보고서입니다. <br /> <br />자체 시스템으로 2016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업무 전반을 감사하고, 개선점을 발굴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겠다고 적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감사 결과에서 눈에 띄는 항목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'3기 신도시 후보지 보안관리 미흡'을 지적한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후보지 선정 관련 자료들의 보안이 취약하다고 자체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구체적으로 들여다보니 실질적인 보안대책이 없을 뿐 아니라 어느 선까지 보안을 지켜야 하는지에 대한 LH 직원들 이해도도 떨어진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신도시 지정 제안서 등 지자체와 협의한 자료의 보안 관리도 미흡하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고서 작성 시점은 3기 신도시 가운데 남양주 왕숙, 하남 교산, 인천 계양 등 1차 발표지만 나왔던 상황. <br /> <br />LH는 또 다른 신규 후보지 선정 추진절차 가운데 보안이 취약한 시기까지 명시하며 '자료 누설은 부동산 투기의 원인이 되는 만큼 관련 부서는 대외 유출을 엄격히 관리하라'고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런 감사 결과가 나온 뒤에도 보안 강화 대책은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는 게 LH 내부 관계자 증언입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불과 한 달여 만에 보안 유출은 수면 위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LH 직원 3명이 고양 원흥지구 개발 도면을 유출하고, 이 사실을 알고도 4개월 동안 숨긴 사실이 지난해 감사에서 드러난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이들은 토지주택공사법에 따른 처벌이 아닌 모두 주의나 경고 처분만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심교언 /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: 그런 것들이 몇 번 생겼으면 정보유출을 막기 위해서 더 엄격하게 관리하고 징계라든가 이런 것도 더 엄격하게 해야 하는데 너무 좀 안이하게 대응한 게 아니냐….] <br /> <br />국민 권익과 직결된 민감한 부동산 개발 사업을 추진하면서도 보안 대책은 구멍 뚫린 상태였던 LH, <br /> <br />게다가 위법에 대한 처벌도 솜방망이에 그친 탓에 대규모 투기 의혹 사태를 불러왔다는 비난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환[kimj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30921463174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